외우지말고 이해하라.

외우는 것 보단 이해해서 내것으로 만들어 활용하기

반응형

2024/09 4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Servlet)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자바 서블릿(Java Servlet)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흔히 "서블릿"이라 불린다. 간단히 말해서,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입니다.웹을 만들때는 다양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있기 마련이고 이 요청과 응답에는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일일이 처리하려면 많이 힘들껍니다. 서블릿은 이러한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Web Back-End/Java 2024.09.10

JDBC, DBCP, JNDI 차이점

JDBC, DBCP, JNDI ?JDBC 란?JDBC는Java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표준 SQL 인터페이스 API이다.인터페이스 기반 구축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인터페이스)이론적으로 각 DBMS에 맞는 JDBC를 받아주게 되면 쉽게 DBMS를 변경 가능일반적으로 JDBC는 Database Pool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DB에서 정보를 가져올 때마다 매번 디비 Connection을 열고 닫는다. 따라서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상용 어플에서 JDBC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JDBC 기능 설명데이터베이스 연결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MySQL, Oracle, SQL Server 등)SQL 문 실행SQL 문을 실행하고 ..

Web Back-End/MySQL 2024.09.08

Content-Type 이란?

Content-TypeContent-Type은 api 연동시에 보내는 자원을 명시하기 위해 보통 사용합니다.Content-Type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HTTP의 request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HTTP의 Request는 다음과 같이 4개의 파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Message Body에 들어가는 타입을 HTTP Header에 명시해줄 수 있는데 이때 명시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필드가 바로 Content Type입니다. 예를 들어 api 요청 시 request에 실어 보내는 데이터(body)의 type정보를 표현합니다.그중에 Text타입으로는 text/css, text/javascript, text/html, text/plain 등이 있습니다.또 file을 실어보내기 ..

IT Study/IT 상식 2024.09.08

Maven과 Gradle 차이

빌드 관리 도구(Build Tool)Maven과 Gradle은 모두 빌드 관리 도구이다.빌드 관리 도구는 빌드와 관리 도구로 나누어질 수 있어보인다. 그렇다면 빌드란 무엇일까? ⚒ 빌드(Build)빌드는 소스코드 파일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과 결과를 말한다. 즉,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 (스프링부트의 경우 .java 파일), 프로젝트에서 쓰인 각각의 파일 및 자원(.xml, .jpa, .jpg, properties)을 jvm이나 톰캣 같은 WAS가 인식할 수 있도록 패키징하는 과정 및 결과물을 일컫는다.예를 들면, Java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개발자가 작성한 A.java와 여러 가지 정적 파일 등에 해당하는 resource가 존재한다.빌드를 한다면 소스코드를 컴파일 해..

IT Study/IT 상식 2024.09.07
반응형